우리문화
경주에 펼쳐진 '판타스틱'한 세계...APEC 정상들 홀릴 K-아트의 정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기념하는 특별 기획전 '판타스틱 오디너리(Fantastic Ordinary)'가 경주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플레이스 씨에서 성황리에 개최되고 있다. 이번 전시는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하고 현대미술 기획사무소 숨프로젝트가 기획을 맡아 한국 현대미술의 독창성과 미감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개막식에서 "오늘날 비즈니스와 기술, 특히 AI 시대에는 예술적 감성과 창의성이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이번 전시를 통해 한국 예술가들의 창의력이 새로운 산업과 혁신의 영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김수자, 김종학, 민병헌, 박제성, 신경균, 이배, 이수경, 하종현, 함경아, 허명욱 등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10명의 작가가 참여하여 각기 다른 재료와 감각으로 일상 속 감정의 다채로운 층위를 탐구하는 작품들을 선보인다.이번 전시는 조선 후기 화가 임당 백은배의 '임당인책가도'에서 영감을 받아,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허무는 동시대 미술로 그 서사를 확장한다. 참여 작가들은 자신만의 독창적인 방식으로 이러한 주제를 해석하고 시각화한다. 김수자는 '보따리' 연작과 빛의 파사드 설치를 통해 이동과 공존의 리듬을 제시하고, 하종현은 캔버스 뒷면에서 물감을 밀어내는 '배압법' 회화를 통해 물질의 저항과 정신의 응집을 보여준다. 이배는 숯 조각을 통해 소멸과 순환의 미학을, 이수경은 깨진 도자기 조각들을 이어 붙인 '번역된 도자기' 연작으로 상처와 치유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특히 함경아는 북한 자수 장인과의 협업을 통해 분단의 감정적 균열을 시적인 언어로 직조해내며 관람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한다.

참여 작가들의 다채로운 표현 방식은 관람객들에게 풍성한 미적 경험을 제공한다. 민병헌의 흑백 사진은 빛과 어둠, 그리고 시간의 층위를 섬세하게 포착하며 사물의 본질에 다가서고, '설악산 화가' 김종학은 강렬한 색채와 역동적인 붓질로 자연의 생명력과 감각적 환희를 재현한다. 신경균은 달항아리의 비움과 충만을 대비시켜 단순함 속에 깃든 장엄함의 미학을 구현하며, 허명욱은 옻칠을 반복적으로 쌓아 올리는 과정을 통해 시간의 깊이와 수행성을 표현한다. 마지막으로 박제성은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동시대 시각 체계의 무의식을 탐구하는 혁신적인 작업을 선보이며 기술과 예술의 융합 가능성을 제시한다.
전시를 총괄 기획한 이지윤 숨프로젝트 감독은 "20년 만에 한국에서 개최되는 APEC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예술이 국경과 언어를 넘어 서로를 이해하게 하는 가장 인간적인 매개임을 보여주고자 했다"며, "단순히 '한국적 정체성'을 표상하는 것을 넘어, 한국 동시대 작가들이 세계의 보편적 언어로 사유하고 응답하는 장을 만들고 싶었다"고 기획 의도를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는 APEC 정상회의를 기념하여 작가들이 특별히 준비한 스페셜 에디션 작품들도 만나볼 수 있다. 김종학의 리미티드 에디션 판화, 신경균의 소형 찻잔 세트, 이수경의 특별 에디션 도자기, 민병헌의 한정판 사진집, 허명욱의 가구와 집기 등은 이번 전시의 의미를 더하며 소장 가치를 높인다. 전시는 11월 9일까지 계속된다.
- 31살에 29억 벌고 먼저 은퇴해, 비법없고 규칙만 지켰다!
- 男性 발보다 더러운 '거기', 세균지수 확인해보니..충격!
- 비트코인'지고"이것"뜬다, '29억'벌어..충격!
- 월3000만원 벌고 싶으면 "이 자격증"만 따면 된다.
- 월수익 3000만원 가능하다!? 고수입 올리는 이 "자격증"에 몰리는 이유 알고보니…
- 코인 폭락에.. 투자자 몰리는 "이것" 상한가 포착해! 미리 투자..
- "농협 뿔났다" 로또1등 당첨자폭주.. 적중률87%
- "부동산 대란" 서울 신축 아파트가 "3억?"
- 목, 어깨 뭉치고 결리는 '통증' 파헤쳐보니
- "서울 동작구" 집값 상승률 1위…이유는?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로또1등' 수동 중복당첨자만 벌써 19명째 나왔다.
-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고양시 지식산업센터” 1년후 가격 2배 된다..이유는?







